신라의 사자상과 분황사 모전석탑 돌사자
분황사 모전석탑의 사자상
삼국시대에 이어 통일신라시대가 되면 사자상은 불상 대좌뿐만 아니라 석탑, 석등, 부도 등 불교와 관련된 다양한 석조물에 표현되기 시작한다. 이 중 사사자석탑(四獅子石塔)이나 쌍사자석등(雙獅子石燈)은 다른 나라에 없는 우리나라만의 독특한 형식이다.
불국사의 다보탑, 의성 관덕동삼층석탑 처럼 기단에 사자상을 배치하는 형식도 나타난다
탑에 사자상을 배치하는 방법은
기단부 등 네 모서리에 독립상을 배치하는 형식과 탑의 상층 기단부(基壇部) 역할을 하면서 탑신석(塔身石)을 받치는 사사자석탑 형식의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탑의 모서리에 독립된 사자상을 배치하는 형식은 이미 삼국시대 미륵사터 석탑의 네 모서리에 석인상(石人像)을 둔 형식에서 그 시원을 찾을 수 있다.
또 682년경에 만들어진 감은사 동탑의 집모양 사리기에서도 기단부 네 모서리에 사자상이 표현되어 있다. 이후 불국사 다보탑, 의성 관덕동 삼층석탑, 중흥산성 삼층석탑 등에도 기단부 위에 사자상을 올려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은, 탑의 상층 기단부 모서리를 대신하여 사자상을 배치한 형식으로 사사자석탑이 있다.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을 시작으로, 화엄사 원통전 앞 사자탑, 함안 주리사터 사사자석탑 등으로 이어진다.
이런 사자상은 두 경우 모두 바깥을 향한 자세로 앉아 있어 불사리(佛舍利)를 외호(外護)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단 위에 독립적으로 올려놓은 형식 기단모서리를 대신하여 배치한 형식
경주지역에서 사자상이 배치된 사례는 매우 많다,
경주 성덕왕릉, 경주 괘릉, 경주 흥덕왕릉 등 왕릉과 불국사 다보탑, 분황사 모전석탑 그리고 월정교지, 일정교지, 월성과 월지(안압지) 등에서 확인된다.
왕릉에서의 사자는 십이지신상과 석인상들과 함께 능묘를 지키는 목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사방을 지키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월정교, 일정교에서의 사자는 다리 정면에서 수도 경주를 수호한다는 뜻으로 세워둔 것이다.
신라 최초의 석탑인 분황사모전석탑의 기단에도 네모퉁이에 각각 화강암으로 조각한 사자가 한 마리씩 앉아 있다. 다보탑이나 의성 관덕동 삼층석탑의 사자가 불사리를 수호하는 의미로 석탑의 기단 위에 놓여졌듯이 분황사의 사자도 이와 같은 의미로 세워졌거나 아니면 다른 곳에서 옮겨와 올려놓았을 것이다.
서편(西편)의 두마리는 등을 세우고 앉아 다보탑이나 의성 관덕동 삼층석탑의 사자상, 신라왕릉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반적인 사자상과 같은 형태이나 동편(東便)의 사자는 엎드린듯한 자세로 몸을 많이 숙이고 있어 사자가 아닌 다른 석수(石獸)로 오해를 빋기도 한다.
신라사(新羅史)에서 사자(獅子)가 처음 등장하는 것은 지증왕(智證王) 때이다.
지증왕(智證王)은 우산국(지금의 울릉도)이 조공을 바치지않자 이사부(삼국유사에는 박이종으로 나옴)에게 명해 우산국을 정벌하도록 한다. 이사부는 이에 나무로 만든 사자((獅子)를 배에 싣고 가 "너희가 만일 항복하지 않으면 이 짐승을 놓아버리겠다"고 위협을 했고 이에 두려움을 느낀 우산국이 항복을 했다는 내용이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당시 사자의 형상이 어떻게 생겼는지는 기록이 없어 확실하게 알 수는 없다.
신라에서 최초로 사자(獅子)의 형상이 조형물로 나타나는 것은 감은사지 사리함이다.
감은사는 신라 29대 문무왕이 욕진왜병(欲眞倭兵)의 염원으로 짓다가 완공하지 못하고 아들 신문왕대에 이르러 완성한 절이며 동서 양쪽의 삼층탑 역시 당시에 만들어진 것으로 신라석탑의 초기탑이다.
감은사지 동탑 사리내합의 사자상
네 귀퉁이의 사자상
1
996년 감은사 동탑을 해체 수리할 때 이 탑의 3층 몸돌에서 찬란하기 그지없는 사리함이 발견되었는데 이 사리함의 기단 네 모서리에는 각각 한마리씩의 사자가 어깨를 펴고 당당하게 앉아 있었다
이 사자의 형태는 나중 신라왕릉에 조성되는 사자와 동일한 형태를 하고 있어 당시에 이미 신라인들은 사자의 형태를 알고 있었음이 분명하다
분황사모전석탑이 감은사 삼층탑보다 먼저 만들어진 석탑이 틀림 없으나 기단 위의 석사자는 석탑조성 당시의 것인지는 확인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형형태로 보아 8∼9세기의 조성된 것으로 보여져 석탑조성 이후 약 100여년의 시간차가 있으므로, 이를 제외하면 감은사지 사리외함에 만들어져 있는 사자상이 가장 빠른 시기의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안압지출토 납석제 사자모양 향로뚜껑(16.3cm) 용도불명 납석제 사자상(10.3cm)
1975년 안압지 발굴조사에서는 납석(활석)제로 만들어진 사자모양의 향로 뚜껑이 발견되었다.
높이16.3cm인 이 사자상은 일반적인 향로뚜껑과는 달리 표효하는 사자(獅子)를 조각한 명품이다.
사자는 앞발을 꼿꼿이 세우고 뒷발을 웅크렸으며 시선을 전면(前面)으로 한채 두 눈을 부릅뜨고 입은 크게 벌린 모습을 하고 있다. 사자상의 뚜껑 바닥에서 사자의 코와 입으로 통하는 구멍이 뚫려 있어 이곳을 통하여 향의 연기가 나오게 되어 있다
또한 현재 높이가 10.3cm인 납석제 사자상도 발견되었으나 아랫부분이 결실되어 용도를 알 수 없다.
조각수법이 뛰어나 통일신라 사자상을 대표할만 하다.
안압지는 문무왕이 삼국을 통일한 후 조성된 동궁의 후원이다. 이곳에서 출토된 사자상은 동궁의 조성과 시기를 같이한다고 볼 수는 없으나 통일신라기의 유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이를 보아 통일신라초기에 이미 사자를 주제로 한 공예품이 만들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월정교출토 사자상 일정교출토 사자상
삼국사기』경덕왕조(景德王條)에 ‘경덕왕 19년 2월 (중략) 궁의 남쪽 천문상에 춘양․월정 두 다리를 놓았다’ 라는 기록이 있어 경덕왕때에 문천을 건너 남산으로 가는 두 개의 다리, 즉 일정교와 월정교를 놓았음을 알 수 있다
월정교를 복원하기 위해 1984년 월정교지와 일정교지를 발굴하였을 때 석조사자상이 발굴된 적이 있다.
이 사자상은
다리 앞에 화표석(華表石)을 세우고 그 화표석의 상단에 안치했던 것으로 추정한다. 화표석은 신성한 구역을 표시하는 의미로 세우는 것인데 위에 사자상을 장엄하여 왕성(王城)을 지키는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석조물로서 나타나는 사자상들은 월정교 조성을 전후한 시기부터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불국사가 만들어진 것도 경덕왕때이니 다보탑에 놓인 사자상도 같은 시대의 석조물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 부조형태로 사자상이 조각된 경우도 있으며 막새기와에도 사자상이 나타난다
삼각형의 면석(面石)으로 된 이 작품은 사자가 무엇인가를 받쳐들고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어 건축물의 모서리 기둥[隅柱]으로 추정된다
머리털을 아주 힘 있게 표현하여 사자의 위엄을 강조하는 동시에, 가슴과 허리, 꼬리는 매우 유연한 곡선으로 처리하였다. 돌이면서도 마치 살아 있는 사자를 보는 듯 표면의 질감을 최대한 살려 부드럽게 조각하였다. 높이는 98cm이며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이다
.
경주 구정동 방형분은 신라지역에서는 그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네모난 형태의 돌방무덤이다. 위의 모서리기둥은 방형분의 네 귀퉁이에 세워져 있던 것 중 하나로, 정면의 우측 모서리기둥으로 쓰였던 것이다.
기둥의 양면에는 서역풍의 무인상이 그 옆면에는 사자상이 각각 돋을새김 되어 있다. 눈이 깊고 코가 높은 무인상은 십이지상과 더불어 돌방무덤을 지키는 수호신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통일신라시대에 서역과의 교류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사자상은 뒷발을 서로 교차한 채 서 있으며, 입에서 뿜어나오는 서기(瑞氣)가 위로 뭉게뭉게 나오고 있다. 높이는 73.6cm이며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안압지에서 출토된 수막새기와이다
안쪽은 구슬무늬로 구획하고 그 안쪽에 사자무늬를 두고, 그 바깥에는 여덟 개의 보상화무늬를 돌렸다. 사자는 앞다리를 펴고 뒷다리를 구부려 앉은 자세로, 우람한 가슴과 튼튼한 다리 등 사자의 특징을 잘 나타내었다. 8세기 전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남산 탑곡마애조상군 북면의 사자상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또 다른 사자상이다. 노서동 출토된 사자상으로. 분황사 탑이나 불국사다보탑의 사자상처럼 어떠한 예배대상의 사방을 지키는 역할을 담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사자를 주제로 한 것은 돌사자뿐만아니라 여러 가지 형태로도 표현되어 나타난다.
분황사의 돌사자
분황사의 돌사자(서쪽면) 분황사의 돌사자(동쪽면)
분황사 모전석탑의 기단 모서리에는 4마리의 사자가 놓여있다. 1915년 수리 이전에 기단 위에는 6마리의 석사자가 있었다고 한다. 석탑의 보수 이후 현재의 4마리를 기단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하고, 나머지 2마리는 당시 조선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보관하였다고 한다.
현재 국립경주박물관 미술관 현관에 한마리가 전시되어 있다
박물관에 전시되어있는 분황사 사자상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있는 분황사사자상과 분황사에 남아 있는 사자상은 형태와 크기에 차이점이 있어 과연 같은 짝이었는지에 대한 의구심은 있다.
분황사의 사자에 비해 박물관의 사자는 크기가 작으며 분황사사자는 사각대좌 위에 있으나 박물관 사자의 대좌는 팔각대좌이다.
이것은 이 두 형태의 사자상이 같은 자리에 위치하고 있지 않았음을 말하는 것이다
박물관의 분황사자자-팔각대좌 분황사사자-사각대좌
따라서 어느쪽의 사자이던 한쪽은 현재 황룡사지 동쪽에 있는 (전)도림사지에서 가지고 온 사자상일것이라는 견해가 있는가 하면 또는 동북쪽 알천 건너에 있는 헌덕왕릉에서 가지고 온 사자상일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그런가하면 박물관에 있는 두 마리의 사자 중 한마리는 숫사자이고 하나는 암사자로 추정되는데, 이들 사자들은 다른 곳에서 분황사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하기보다는 크기와 조각된 모습으로 보아 새끼사자의 의미로 조각되지 않았나 생각되기도 한다는 견해도 있다.
그렇다면 분황사의 기단에 6마리의 사자가 어떤 형태로 배치가 되었을지 궁금해진다.
모전석탑의 기단이 4각이 아닌 6각이었을까?
뿐만 아니라 6마리의 사자가 각각 2마리씩 3쌍이 형태와 크기가 모두 다르게 조성된 이유는 무엇인지, 여러가지 의문은 있지만 석탑의 원형을 알 수 없는 현재로서는 사자상과 분황사탑의 관계는 무어라 단정할 수 없다
동쪽면의 사자상
현재의 기단에 있는 사자 4마리 중에 서남과 서북의 것 두마리는 앉아 몸을 세우고 머리를 들고 있는 사자의 형태가 완연하나, 동쪽을 바라보고 있는 나머지 2마리는 몸을 낮추고 있는 형상으로 언뜻보기에는 물개처럼 보인다. 그래서 많은 이들은 동해바다를 수호하는 물개를 형상화 한 것이라고 하기도 한다.
머리의 형태를 보면 물개에 가까운 것은 사실이나 쉽게 물개라고 단정할 수 없는 것은 꼬리와 뒷다리의 형태 때문이다.
물개와 사자상의 형태비교
얼굴부분 뒷모습의 꼬리
물개의 형태의 특징 중 하나는 앞다리이다. 지느러미 형태로 변한 앞다리는 세우면 발바닥이 옆으로 퍼지는데 분황사의 석조물은 불행하게도 앞다리의 아랫부분이 모두 잘려나가 형태를 알 수 없고 최근에 보수를 하면서 사자의 앞다리형태로 만들어 붙였다.
그리고 물개의 꼬리는 한뼘이 되지 않을 정도로 짧지만 분황사 석수의 꼬리는 사자 꼬리의 형테이다. 동아줄처럼 길다란 꼬리 끝에 갈기가 뭉쳐있다.
뒷다리 역시 뭍짐승에서만 볼 수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분황사의 사자상을 물개나 이와 비슷한 물사자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사자의 형상이 다르기는 하지만 무슨 동물을 형상화 한 것인지 알 수 없는 한, 암사자상이라고 한 문화재청의 설명을 따를 수 밖에 없다.
분황사모전석탑의 사자상은 언제부터 이 기단에 배치되었을까? 탑의 조성과 같은 시기에 만들어졌을까?
이에 대하여 많은 학자들은, 다보탑이나 의성 관덕동 삼층석탑에서 처럼 통일신라시대 이후에 사자를 모서리에 배치 하는 형식이 나타나는 것으로 볼 때, 석탑 조성 당시에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후대에 다른 데서 옮겨 온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고(故) 이근직교수는 분황사의 사자가 헌덕왕릉에서 옮겨온 것이라는 견해를 피력한 바 있으며 향토사학자중에는 구황동모전석탑지에서 가지고 왔다고 추정하는 이도 있다.
그러나 사자상의 형태를 보면 왕릉에 세워진 사자상들과 공통점이 많아 故 이근직교수의 학설이 더 근접하는 것 같다
분황사사자상 이동설이 있는 헌덕왕릉과 구황동모전석탑지
분황사의 모전석탑에 사자상이 세워진 때는 언제인지는 알 수 없지만 현재 남아있는 사자상들과 비교하여 보자. 우선 다보탑, 관덕동사지삼층석탑 사자상과 비교하여 보면
사자상의 크기 비교
다보탑 기단 위에 석사자는 전체 높이 974mm, 대좌 높이 197mm,대좌앙련 높이 187mm, 사자 높이 590mm이나 분횡사 서남쪽의 사자는 몸의 높이가 1,175mm, 가슴폭이 575mm나 된다
이렇게 분황사모전석탑의 사자는 다보탑의 사자나 관덕동삼층탑의 사자, 박물관의 분황사사자상과는 크기에서 비교가 되지 않는다. 물론 탑의 크기가 다르므로 비례해서 크게 만들어졌다고 생각할 수는 있겠으나 사자가 앉아 있는 대좌의 모양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분황사 모전석탑의 사자-사각대좌
다보탑-팔각대좌 분황사(박물관보관)-팔각대좌 의성 관덕동-팔각대좌
지금까지 알려진 석탑 기단 위에 놓여졌던 사자상은 모두 팔각대좌 위에 올려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분황사에 놓여있는 4기의 사자는 모두 사각대좌 위에 앉아있다
신라왕릉 앞의 사자가 모두 사각대좌에 올려져있어 같은 형태를 보이고 있다.
신라 33대 성덕왕릉
경주의 신라왕릉의 무덤 앞에는 왕릉의 수호신으로 만든 사자상이 있다.
현재 남아있는 곳은 33대 성덕왕릉과 제 38대 원성왕릉, 제42대 흥덕왕릉이다.
이 중에서 가장 먼저 세워진 곳이 신라 33대 성덕왕릉인데, 이 왕릉의 사자상은 왕릉 조성 당시에 세워진 것이 아니라 36대 경덕왕때에 이르러 경덕왕이 부왕인 성덕대왕릉에 사자상을 조성하여 세운 것이다.
(34대 효소왕은 성덕왕의 첫째아들이고, 35대 경덕왕은 성덕왕의 둘째아들로 효소왕의 동생이다)
이들 사자상은 석인상과 함께 능묘의 묘역을 수호하기 위해서 배치된 것으로 신라 고유의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들 왕릉의 사자상과 분황사모전석탑의 사자상과 크기를 비교하여 보자
분황사사자상실측치 (단위 mm)
구부 서남측 서북측 동남측 동북측
높이 1,175 1,150 947 884
가슴폭 575 532 540 610
뒤 폭 636 630 690 655
몸길이 870 800 1,195 1,180
(좌 대) (776X994) (740X990) 좌대의 높이는 묻힌 부분이 있어 정확히 알 수 없다
괘릉(원성왕릉)사자상 실측
남사자-높이 137.9cm 너비 65.6cm 받침석높이 26.0cm
서사자-높이 138.0cm 너비 73.6cm 받침석높이 17.0cm
북사자-높이 129.8cm 너비 68.4cm 받침석높이 17.0cm
동사자-높이 132.0cm 너비 60.8cm 받침석높이 21.0cm
성덕왕릉 사자상 실측
남사자-높이 105.5cm 너비 60.0cm 받침석높이 25cm
서사자-높이 89.5cm 너비 61.0cm 받침석높이 14.0cm
북사자-높이 97.5cm 너비 54.8cm 받침석높이 10.1cm
남사자-높이 97.8cm 너비 62.0cm 받침석높이 15.0cm
흥덕왕릉 사자상
왕릉 사자상들과의 비교
분황사 흥덕왕릉
성덕왕릉 원성왕릉(괘릉)
분황사 성덕왕릉 원성왕릉(괘릉) 흥덕왕릉
위 왕릉에 있는 사자상들과 분황사모전석탑의 사자상은 매우 닮은 모습이다.
크기가 비슷하며 갈기의 형태나 뒷꼬리의 모습, 앉아있는 모습등이 흡사하여 같은 시대에 같은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따라서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기단부에 배치된 사자상은 원래 불탑을 지키는 용도로 조성되었기보다는 다른 곳에 소재한 신라왕릉에서 옮겨졌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으므로 향후 조각상태와 형식 등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박종병과 돌! 그 삶속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주교 성지 작업 (0) | 2017.05.08 |
---|---|
잉어 분수대 (0) | 2017.05.08 |
비슬산 대견사 금강계단 점안법회 교통안전지원 (0) | 2016.10.16 |
동화사 선체험관 개관 전시 2012년 4월 1일 (0) | 2016.10.05 |
비슬산 대견사 금강계단 조성 대구 달성군 명소 (0) | 2016.09.29 |
댓글